전기자전거 보조금은 지자체별로 거주하는 주민에 한해 제공하는 보조금의 일환으로 전기자전거 구매 시 일부 금액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이러한 전기자전거 보조금 정책은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기 때문에 지원금액과 조건이 모두 다릅니다.
전기자전거를 구매할 계획이 있다면 우리 지자체에서도 전기자전거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는지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
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은 각 지역별 지자체에서 친환경 이동수단인 전기자전거를 보급하기 위해 구입 금액 일부를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대부분 인원 수를 제한하고 있어 추첨방식으로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당첨되는 경우 전기자전거 구매 금액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금액
보조금 지원금액은 일반적으로 전기자전거 구매 금액의 30%~50% 이내에서 최대 30만원에서 5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습니다.
최대 지원금액과 금액 비율은 지자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 본인이 속한 지역별로 확인이 필요합니다.
신청방법
- 보조금 지원 신청 일정을 확인합니다.
- 전기자전거 보조금 지원 신청합니다.
- 구입 보조금 대상에 선정됩니다.
- 전기자전거를 구입합니다.
- 영수증을 전달하고 지원금을 수령합니다.
전기자전거 보조금 신청방법은 자신이 속한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매년 1월~3월 또는 8월~9월에 신청이 진행됩니다.
보조금에 지원한다고해서 무조건 받는 것은 아니고 전자 추첨을 통해 일부 대상자에게 지원금이 지급됩니다.
지원대상
전기자전거 구입 시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는 지원 대상자는 공통적으로 만 18세 이상 성인만 지원이 가능합니다.
또한 지자체별로 최소 1년 이상 해당 지역에 거주해야하거나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대상자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.
자전거 구입 시 브랜드나 가격은 제한이 없지만 PAS 방식의 전기자전거만 구입이 가능하며 스로틀 방식 및 PAS/스로틀 방식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
주의사항
전기자전거 보조금을 지원받은 대상자는 보조금 지급일을 기준으로1년 간 의무 운행기간을 준수해야하며 미이행시 지원금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.
1년 이내 자전거 이용 실태 점검을 보고해야하는 지자체가 있으며 전기자전거 요건에 맞지 않게 개조하는 경우에도 보조금이 환수될 수 있습니다.
전기자전거 보조금 지원 지역
전기자전거 구매 시 보조금을 지원하는 지역은 매년 달라지지만 대부분 이전에 지원했던 지역이라면 매년 지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2022년 이후로 지금까지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을 지원했던 지역을 살펴보고 자신이 속하는 지역이 있다면 꼭 지원해보시길 바랍니다.
지역 | 시청 홈페이지 |
서울특별시 | 강동구청 양천구청 서대문구청 |
과천시 | 바로가기 |
원주시 | 바로가기 |
춘천시 | 바로가기 |
세종특별자치시 | 바로가기 |
천안시 | 바로가기 |
청주시 | 바로가기 |
전주시 | 바로가기 |
안동시 | 바로가기 |
제주도 | 바로가기 |
광주광역시 | 바로가기 |
인천광역시 | 바로가기 |
대전광역시 | 바로가기 |
창원특례시 | 바로가기 |
각 지자체별 홈페이지에 접속 후 검색 창에 “전기자전거”를 검색하면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 지원사업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전기자전거 구매 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보조금을 활용하면 더욱 저렴하게 전기자전거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.
가성비 좋은 전기자전거 추천 순위 TOP 5 (100만원 이하)